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캘리포니아 의료 과실법: 신생아 출산 손상과 법적 권리에 대한 Q&A [ASK미국 레몬법/대형 상해-최미수 변호사]

▶문= 출산 중 발생한 신생아 손상이 시간이 지나면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출산 당시 문제가 있었다면 어떻게 인지할 수 있고, 나중에 발견된 손상도 의료 과실로 인정될 수 있나요?     ▶답= 출산 중 발생한 손상은 즉각적으로 드러나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신생아가 출생 직후 특별한 문제가 없어 보였더라도, 몇 개월 혹은 몇 년이 지나면서 발달 지연이나 신경학적 문제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의 경우 출산 중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미세한 근육 조절 장애로 시작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확한 운동 기능 장애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상완 신경총 손상이나 어깨 난산으로 인한 신경 손상도 초기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아기가 팔을 움직이거나 잡는 행동을 할 시기가 되었을 때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문제가 드러납니다.   출산 당시 의료진이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제대로 모니터링하지 않거나, 제왕절개 시기를 놓쳐 산소 부족이 발생했을 경우, 또는 분만 도중 의료 기구를 부적절하게 사용해 신경이나 뼈가 손상된 경우 모두 의료 과실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과실이 출산 직후 바로 드러나지 않을 때, 부모님들이 그 원인이 출산 과정에 있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달 단계에서 말하기 지연, 걷기 어려움, 팔이나 다리의 움직임 제한, 또는 두개내 출혈로 인한 인지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난다면, 이는 출산 중 발생한 손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모님께서는 즉시 의료 기록을 요청하여 출산 당시 병원 측의 대응을 확인해야 합니다. 의료 기록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 사용된 의료 기구, 응급 처치 여부 등이 포함되어 있어 과실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또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손상 원인을 분석하고, 의료 과실이 의심된다면 법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산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와 재활 치료비, 장기적인 간호 비용은 가족에게 큰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법적 절차를 통해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사무실은 출산 과정에서 발생한 손상과 관련된 의료 과실 여부를 철저히 검토하고, 피해를 입은 가족들이 복잡한 법적 과정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만약 자녀의 발달 과정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되거나 병원 측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신다면, 언제든지 연락 주십시오. 여러분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함께하겠습니다.     ▶ 문의: 323-496-2574   AI 생성 속보미국 캘리포니아 신생아 손상 의료 과실 출산 과정

2025-02-06

뉴저지주 출산 사망률 줄이기 나서

뉴저지주가 신생아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산모가 목숨을 잃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  적극 나서기로 했다.   뉴저지주는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산모들이 신생아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질병·사고·감염 등으로 목숨을 잃는 비율이 10만 명당 12.8명이었으나,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은 10만 명당 15명으로 늘었다.   특히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사망하는 산모의 수는 흑인들의 경우 백인 등 다른 인종과 비교해 무려 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종 ▶교육과 의료 환경 ▶경제 수준 등에 따른 불균형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뉴저지주는 이러한 불균형을 막기 위해 비영리 시민단체인 ‘뉴저지 헬스케어 퀄리티 인스티튜트(New Jersey Health Care Quality Institute · 웹사이트 www.njhcqi.org)’와 함께 주요 병원과 출산소 등에 환자와 의료진 사이의 소통을 강화하는 ‘팀버스(TeamBirth)’ 프로그램을 적극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팀버스’ 프로그램은 임산부가 출산을 위해 병원과 출산소 등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희망과 의견을 적극 제시하고, 의료진은 이를 진단과 치료에 반영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의 사망 사고를 막고 ▶제왕절개 수술 대신 자연분만을 유도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팀버스’ 프로그램을 채택한 병원이나 출산소는 산모가 입원한 병실에 환자의 ▶요구 ▶치료 계획 ▶출산 상태 등을 적거나 알리는 게시판(화이트보드)를 설치해 의료진이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소통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한편 현재 ‘팀버스’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은 ▶만머스 메디컬센터 ▶쿠퍼만 바나바스 메디컬센터 ▶버튜아 부히스 병원 ▶버튜아 헬스 미드위퍼리 버스앤웰니스 등이다. 박종원 기자뉴저지주 사망률 뉴저지주 출산 출산 과정 출산 상태

2022-09-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